본문 바로가기

저축, 재테크53

2021년 금융사별 IRP 계좌 수수료 비교 / 수수료 때문에 국민은행 IRP → 한투 IRP로 이전하는 과정 후기 / 계좌별 납부한도 변경 IRP는 2017년에 계좌 개설해서 갖고 있었는데..... 그 당시 국민은행 지점 방문했다가 IRP 만들라고 그래서 연말정산만 생각하고 만들었음. 당시의 나 "투자 싫다고, 그냥 넣기만 할 거라고" → 그러면 예금으로 해준다고. 그러다가, "IRP 계좌 수수료가 금융사별로 다르다. 지금 이전보다 전반적으로 낮아지는 추세다."라는 내용을 보고 금융감독원 - 통합연금포털에서 IRP 계좌 수수료 비교해보고 충격받음. 0. 2021년 금융사별 IRP 계좌 수수료 비교아래는 통합연금포털에서 2021년 2월 22일 조회해본 것!운용관리 수수료, 자산관리 수수료 모두 0%인 곳은▶ NH투자증권, 미래에셋대우, 삼성증권, 신한금융투자, 하나금융투자, 한국투자증권, 한국포스증권, 한화투자증권 8곳.(수수료 무료) 그 아.. 2021. 2. 23.
퇴직연금 DB형 vs DC형 vs IRP 개념 / 퇴직해서 DC를 IRP로 받을 때 상품 환매 여부? DB형 : 확정급여형 Defined Benefit- 회사가 운용. - 회사가 어떤 상품으로 할지 지시를 직접 내림. 회사와 금융기관이 알아서 함. → 근로자가 받아야할 퇴직금은 정해져있기 때문에, "회사"가 운용을 잘해서 이익을 보아도 회사가 이익을 보고, 손해를 봐도 회사가 손해를 떠안게 됨. → 운용 후 이익이 발생해도 그 이익이 근로자에게 가지 않음. 퇴사하게 되면 별도의 IRP 계좌를 만들게 되고 → 퇴직연금(DB형)을 IRP로 받게 됨. DC형 : 확정기여형 Defined Contribution - 근로자가 운용. - DC계좌를 만들 수 있는 몇 개의 사업자를 회사가 골라줌. → DC 계좌 개설 - 이 돈을 어떤 상품으로 굴릴지를 근로자가 직접 관리. 퇴사하게 되면 별도의 IRP 계좌를 만들게 .. 2021. 2. 22.
14F 일사에프 아이돈케어 - 자산분산, 포트폴리오 내용 정리 MBC 14F 일사에프 아이돈케어에서 며칠 전에 자산분산, 포트폴리오와 관련된 내용이 올라왔다. 유튜브 알고리즘이 보여줌... 작년 초반에는 아이돈케어와 유수진씨 예전 팟캐스트들도 챙겨 들었는데, 어느 순간 내 취향이 아니다 싶어서(개취!) 일사에프도 그 다음에 안 봤는데, 이번 내용은 최근에 관심을 많이 갖고 있는 주제였기 때문에 영상을 보았고, 결론적으로는 게스트로 나온 분의 설명이 너무 좋아서 도움이 되었다. 달러, 금이 주식과는 방향성이 다르기 때문에 (상관계수 -) 포트폴리오 짤 때 이렇게 방향성이 다르게 움직이는 자산들을 섞는 것이 리스크 분산에 도움이 된다는 내용은 이해하고 있었지만, 이 영상을 통해 왜 시장이 흔들리면 달러와 금이 방어하는 역할을 하게 되는지 잘 이해할 수가 있었다. 그리고.. 2021. 2. 14.
리츠(REITs)의 기본 개념, 투자시 장점 정리 자산 포트폴리오에서 배당주와 함께 '배당자산'에 해당하는 리츠 Real Estate Investment Trusts (REITs) 포트폴리오를 공부하는 입장에서, 리츠의 개본 개념과 투자할 때의 장점 및 위험성에 대해서 정리! 0. 리츠(REITs)란 무엇이지? 우선, 국토교통부의 '리츠정보시스템' 사이트를 찾아본다. ※ '리츠'의 정의는 - (부동산투자회사법 제2조 제1호에 따라) - [투자] 다수의 투자자로부터 자금을 모아 부동산, 부동산 관련 증권 등에 투자, 운영하고 - [분배] 그 수익을 투자자에게 돌려주는 - 부동산 간접투자기구인 주식회사. 이라고 나와있다. 핵심은 다 나와있는 정의이지만, 크게 와닿지 않으니 책에 나왔던 비유를 빌려오면, 1) A 상가에 떡볶이 가게가 입점해있는데, 이 상가가.. 2021. 2. 13.
국내주식형 ETF 상품명 뒤에 붙는 TR 의미 → KODEX 200, KODEX 200TR 차이 이번에 에서 투자자산 중 한국 주식 ETF에 대한 부분에서 KOSEF 200TR이 소개되길래, 책 중의 TR (분배금 안 주고 재투자한다)에 대한 설명을 보고 유튜브를 더 찾아보고 공부했다. 0. 주식에서는 배당금, ETF에서는 분배금이 나온다. - 국내주식형ETF에는 주식이 담겨있으니! - 주식에서 배당이 나오는데, - 내가 보유하고 있는 ETF 안에 들어있는 주식에서 배당금이 나올 때마다 바로 내게 돌려주지 않고, - 모아두었다가 "정해진 날짜가 되면" ETF를 갖고 있는 주주들에게 준다. - 그래서 "분배금"이라고 한다. 1. 그런데, TR은? 예를 들어서, 삼성증권 어플에서 KODEX 200을 검색하면, KODEX 200과 KODEX 200TR이 같이 나오는데, 여기서 TR은 무엇일까? TR = .. 2021. 2. 10.
[책] <박곰희 투자법> Chapter 6. ETF를 활용한 포트폴리오 박곰희(박동호), , 인플루엔셜, 2020.12.10이제 ETF 활용해서 포트폴리오 짜기 실전 정리! Part 3. 실전! 자산배분 투자 따라하기Chapter 6. ETF로 나만의 포트폴리오 만들기 ◎ ETF로 자산배분하면 좋은 이유※ ETF(Exchange Traded Fund, 상장지수펀드) : 거래소에서 거래되는 펀드 - 장점 : 펀드라서 분산투자, 간접투자 가능 + 주식에 상장되어 있어서 거래 편함.(실시간 거래 가능, 거래비용 저렴) → 자산운용사에서 만들기 때문에, 자산운용사 브랜드 이름이 앞에 붙는다. ex) 삼성자산운용 KODEX / 미래에셋자산운용 TIGER / KB자산운용 KBSTAR / 한국투자신탁운용 KINDEX / 한화자산운용 ARIRANG * 일반 펀드보다 보수가 저렴하다. (주.. 2021. 2. 9.